단천11월 웹진    단천 지난호 웹진    웹사이트바로가기    


박찬걸 조각가

박찬걸이 말하는 작가 박찬걸

아버지의 방문을 열며

내가 태어난 해는 무척이나 불온했다. 유신헌법이 온 나라에 드리웠을 때니 말이다. 세상은 치열하게 대립했고, 도시의 좁은 골목엔 푸세식을 제치고 ‘똥차’가 누비며 신기술을 자랑했다. 나의 아버지는 초등학교에서 정부가 만들어낸 교과서로 열심히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었으리라. 돌아가는 세상에 불안을 느끼며 다섯째 막내로 태어난 나를 맞이했으리라.

나의 유년 시절은 늘 가난했다. 아버지가 들고 오는 낡은 트랜지스터 라디오나 캐논 카메라를 만지작거리며 부유함을 상상했다. 아련했던 그 시절, 우리집에는 라디오와 카메라처럼 대접받는 물건이 있었는데 그것은 이순신 테라코타였다. 교육청 공모에서 당선된 아버지의 작품이었다. 어쩌면 내 인생을 통틀어 최초의 작품 감상이 아니었을까. 테라코다에 바른 금칠을 손톱으로 살살 긁어내며 동상을 찬찬히 뜯어보던 기억, 물성. 그 기억의 줄기를 따라 나는 조각가가 되었을 것이다.

아버지의 손끝이 나의 손끝으로 이어지는 강렬한 경험. 나무도 깍고 흙도 주무르며 뭔가를 계속 만들었던 아버지는 하꼬방 같은 안방의 절반을 조잡한 작품들로 채웠다. 안방에서 나던 니스 냄새와 나무 냄새가 기억으로 환원된다. 뭔가를 만들던 구부러진 아버지 등의 형상. 나는 이따금 작품을 만들며 여전히 아버지의 안방을 채워나가고 싶은 게 아닌가 생각한다.
아버지는 힘겹고 묵묵하게 나를 지원하셨고, 대학 합격 이후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기로 한 나는 대학생활과 사회생활을 동시에 시작했다. 쉽지 않은 출발이었지만 그것은 나를 믿어 준 가족에 대한 사랑이었다. 맨발로 뛰며 운영했던 입시학원은 그야말로 현장이었다. 교육현실의 부조리를 살갗으로 만났고 그로인해 가르치는 것에 대한 내 안의 열정을 밖으로 불러올 수 있었다.
스무 살 때부터 쉬지 않고 아이들을 가르쳤고 그들의 방향을 고민했으며 그것은 결국 나의 방향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 대학원 등록도 그러한 시각을 확장해나가고 싶어서였다.

내게 있어 작업은 삶에 대한 성찰의 기록이다. 이 기록을 통해 타인과 나를, 세상의 삶을 들여다본다. 아버지의 테라코타를 만지며 어린 내가 느꼈을 체험, 그것은 결국 아버지라는 존재가 아니었을까.

나는 쉬지 않고 걷고 주저앉고 달렸다. 작가로서 작품을 쏟아내듯 완성했고 버렸으며 질문했다. 대학에서 시간 강사와 초빙교수로 성숙한 지성들을 가르치는 귀한 기회를 오랫동안 가져왔다. 참으로 감사한 일이다. 마치 무언가 결실을 내듯 나의 40년이 차오르고 있다. 해외 유수의 갤러리에서 작가 박찬걸을 찾고 있으며 국내의 국공립 사립 미술관에서도 전시 요청이 들어오고 있다. 국내외 기업의 콜라보레이션 요청 또한 나의 창작 욕구를 끓게 하고 사유를 깨운다. 대학 시절, 생각만으로도 내 안의 불꽃을 터뜨리던 일들이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나무 냄새나던 아버지의 방 앞을 서성인다. 그 방은 채워지지 않는 영원한 결핍을 의미하는지도 모른다. 아버지는 내게 성찰의 방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창작 작업도 교육도 내게는 크고 깊은 숲이다. 그 숲으로 가기 위해 아버지의 방문을 연다.

 




스승이 된다는 것

어림잡아 내 인생의 절반을 누군가의 스승으로 살아왔다. 입시학원 시간 강사에서부터 대학에서 초빙교수로 강의하고 있는 지금까지 말이다. 그러나 가르치는 일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나는 가르침을 받아왔고 앞으로 남은 인생 동안 여전히 나의 작업과 인생과 교육의 길에서 따라가야 할 스승이 계시다. 작품제작으로 피로가 쌓일 때마다 다시 작품 제작에 몰두하던 무섭도록 진지했던 스승님은 이십 년 전에도 그러하셨고 지금도 그러하시다. 의심할 여지없이 내일도 그러하시리라. 스승님의 모습은 이론이나 사변의 틀로 정리할 수 없는 그야말로 삶이었다. 그 모습을 보며 나는 청년기를 보냈고 중년에 들어섰다. 그것이 가장 크나큰 교육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삶을 관통하는 작품에 대한 그 성실함과 뜨거움을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가르치는 것은 여전히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이며 따라서 두려운 일이라는 것을 고백한다.

오랜 시간 배우고 동시에 가르치며 고민하고 질문했던 몇 가지와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부분들을 정리해본다.
우선은, 사회 전반에 안전에 대한 인식이 안타까운 사고들 이후로 더욱 높아지고 있다. 위험한 공구를 다룰 수밖에 없는 조소과 특성상 적극적으로 안전 지침을 세울 필요가 있다. 케이스 별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과 인식 교육이 절실하다. 
모든 교육 현장의 문제이기도 한데, 교사 일인당 학생 수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학생들의 자율성을 제한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육자는 최대한 학생들의 표현 방식을 열어두는 장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제한된 틀 속에서 안주하지 말고 그들의 표현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장해주어야 한다.
반보편적 사고를 자유롭게 열어주되 뿌리 없이 부유하는 반사회적 사고에 대해서는 경계를 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도 교육자의 몫이다.
또한, 작가가 되고자 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모두 끌어안도록 해야 한다. 저마다 작품에 대한 가치관과 세계관을 지니고 있다. 자신이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반드시 함께 고민한다. 세상으로 나갈 준비를 함께 하고 낯섦과 두려움에 대해 당당해질 수 있도록 섬세하게 접근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막연한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에 바탕을 두고 논리적인 방향 제시를 해야 한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교육에 의해 줄 세워졌고 끄트머리 어디쯤에 내 자리가 있었다. 초라하다고 여겼고 작가가 되고 싶다는 막연함만이 안개처럼 떠돌았다. 그러나 그 기억은 철을 자르고 이어붙이며 작업할 때 나를 들여다보는 우물의 밑바닥이 되곤 한다. 나의 이러한 경험들을 학생들과 나누고자 한다.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전망하며. 다만, 내가 가르치고자 하는 학생들은 결코 평면적으로 줄서있지 않고 각각의 입체적 개성을 띈 귀한 보물들이 될 것이다. 그들은 곧 나의 스승이 되기도 할 것이며 창작의 영토에서 함께 번민하는 동지가 될 것이다.